2025년 추석 연휴, 서울시 비상 병원 의원 진료 약국 확인 하는 법
2025 추석 연휴, 갑자기 아프다면?
상황별 대처법 완벽 가이드
서울시 문 여는 병원·약국 정보 총정리 (기간: 10.3 ~ 10.9)

민족 대명절 추석, 즐거운 연휴를 보내던 중 갑자기 몸이 아프거나 다친다면 막막하기만 합니다. 문을 연 병원이나 약국은 어디 있는지, 응급실에 가야 할지 판단이 서지 않을 때를 위해 준비했습니다.
이 가이드 하나면 2025년 추석 연휴, 어떤 의료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내 상황에 맞는 의료기관 찾기: 4단계 솔루션
지금 겪고 있는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가장 적합한 해결책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.
[1단계] 가벼운 증상: 감기, 소화불량, 가벼운 통증
응급실을 찾기보다는 가까운 동네 병의원이나 약국, 편의점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빠르고 효율적입니다. 연휴 기간 서울시에서는 하루 평균 2,750여 곳의 병의원과 약국이 문을 엽니다.
해결책 1: 안전상비의약품 구매 (24시간)
해열진통제, 감기약, 소화제, 파스 등 13개 품목은 약국이 문을 닫은 시간에도 24시간 편의점(서울시 내 6,959개소)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.
해결책 2: 문 여는 병의원·약국 방문
정확한 진단과 처방이 필요하다면, 아래 방법으로 현재 운영 중인 곳을 확인 후 방문하세요.
- 가장 정확한 실시간 검색: E-GEN 응급의료정보제공 지도
- 스마트폰 앱 활용: '응급의료정보제공(E-GEN)' 또는 '손목닥터 9988' 앱
- 전화 문의: 국번 없이 120 (다산콜센터) 또는 119 (구급상황관리센터)
[2단계] 준응급 상황: 골절, 베인 상처, 깁스/봉합 필요 시
응급실에 갈 만큼 심각하지는 않지만, 전문적인 처치가 시급한 경우를 위해 서울시에서는 특화된 의료기관을 운영합니다. 대형병원 응급실의 과부하를 줄이고 신속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.
해결책 1: 서울형 긴급치료센터 (UCC) - 매일 09:00~24:00
X-ray 촬영, 수액 치료, 간단한 봉합 등 응급실 수준의 처치가 가능한 '경증 응급환자' 전용 기관입니다.
의료기관명 | 소재지 (지도) | 주요 진료분야 | 연락처 (전화) |
---|---|---|---|
서울석병원 | 서울 송파구 송이로 148 | 정형외과, 내과, 산부인과 등 | 02-403-7585 |
더건강한365의원 | 서울 양천구 신월로 280 | 내과, 정형외과, 소아청소년과 등 | 02-2603-3650 |
해결책 2: 외과계 질환별 전담병원 - 24시간 운영
골절, 외상, 수지접합, 미세봉합 등 외과적 수술/처치가 24시간 가능한 전문 병원입니다.
의료기관명 | 소재지 (지도) | 주요 진료분야 | 연락처 (전화) |
---|---|---|---|
원탑병원 | 서울 강서구 등촌로 15 | 외상, 골절, 열상, 수지접합 | 02-2644-3690 |
서울프라임병원 | 서울 광진구 동일로 92-1 | 미세봉합, 외상, 사지접합 | 02-464-2700 |
리더스병원 | 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1044 | 수지접합, 고관절 | 02-333-3080 |
서울연세병원 | 서울 마포구 토정로 271 | 정형외과 (근골격계) | 02-2293-7582 |
[3단계] 우리 아이가 아플 때: 소아 경증부터 응급까지
어른보다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은 연휴 기간 갑자기 아픈 경우가 많습니다. 부모님들이 당황하지 않도록 소아 환자를 위한 의료체계가 촘촘하게 운영됩니다.
[4단계] 생명이 위급한 응급상황
심한 출혈, 호흡곤란, 의식불명 등 누가 봐도 위급한 상황일 때는 주저하지 말고 즉시 119에 전화해야 합니다. 연휴와 관계없이 서울시 응급의료체계는 24시간 정상 가동됩니다.
- 즉시 119에 신고: 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증상에 따른 응급처치 지도와 함께 가장 적절한 응급실로 신속하게 이송해 줍니다.
- 24시간 응급의료기관 (총 70개소): 권역·지역응급의료센터 31개소, 지역응급의료기관 18개소, 응급실 운영병원 21개소가 평소와 동일하게 운영됩니다.
- 실시간 응급실 정보 확인: E-GEN 응급실 찾기에서 실시간 병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댓글
댓글 쓰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