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년 추석 연휴, 서울시 비상 병원 의원 진료 약국 확인 하는 법

2025 추석 연휴 병원·약국 완벽 가이드 (상황별 대처법)

2025 추석 연휴, 갑자기 아프다면?
상황별 대처법 완벽 가이드

서울시 문 여는 병원·약국 정보 총정리 (기간: 10.3 ~ 10.9)

2025년 추석 연휴 병의원 및 약국 운영 확인하기 배너 이미지

민족 대명절 추석, 즐거운 연휴를 보내던 중 갑자기 몸이 아프거나 다친다면 막막하기만 합니다. 문을 연 병원이나 약국은 어디 있는지, 응급실에 가야 할지 판단이 서지 않을 때를 위해 준비했습니다.
이 가이드 하나면 2025년 추석 연휴, 어떤 의료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.

※ 방문 전 필수 체크! 안내된 모든 정보는 서울시 발표(9/29 기준)에 따르며, 의료기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 반드시 방문 전 전화로 운영 여부와 시간을 확인하세요. 생명이 위급할 땐 즉시 119에 신고해야 합니다.

내 상황에 맞는 의료기관 찾기: 4단계 솔루션

지금 겪고 있는 증상의 심각도에 따라 가장 적합한 해결책을 단계별로 안내합니다.

[1단계] 가벼운 증상: 감기, 소화불량, 가벼운 통증

응급실을 찾기보다는 가까운 동네 병의원이나 약국, 편의점을 이용하는 것이 훨씬 빠르고 효율적입니다. 연휴 기간 서울시에서는 하루 평균 2,750여 곳의 병의원과 약국이 문을 엽니다.

해결책 1: 안전상비의약품 구매 (24시간)

해열진통제, 감기약, 소화제, 파스 등 13개 품목은 약국이 문을 닫은 시간에도 24시간 편의점(서울시 내 6,959개소)에서 쉽게 구매할 수 있습니다.

해결책 2: 문 여는 병의원·약국 방문

정확한 진단과 처방이 필요하다면, 아래 방법으로 현재 운영 중인 곳을 확인 후 방문하세요.

💡 추석 당일(10/6) 특별 진료: 서울시 25개 모든 자치구 보건소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정상 진료를 실시합니다. 간단한 진료가 필요하다면 가까운 보건소를 활용하세요.

[2단계] 준응급 상황: 골절, 베인 상처, 깁스/봉합 필요 시

응급실에 갈 만큼 심각하지는 않지만, 전문적인 처치가 시급한 경우를 위해 서울시에서는 특화된 의료기관을 운영합니다. 대형병원 응급실의 과부하를 줄이고 신속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.

해결책 1: 서울형 긴급치료센터 (UCC) - 매일 09:00~24:00

X-ray 촬영, 수액 치료, 간단한 봉합 등 응급실 수준의 처치가 가능한 '경증 응급환자' 전용 기관입니다.

의료기관명소재지 (지도)주요 진료분야연락처 (전화)
서울석병원서울 송파구 송이로 148정형외과, 내과, 산부인과 등02-403-7585
더건강한365의원서울 양천구 신월로 280내과, 정형외과, 소아청소년과 등02-2603-3650

해결책 2: 외과계 질환별 전담병원 - 24시간 운영

골절, 외상, 수지접합, 미세봉합 등 외과적 수술/처치가 24시간 가능한 전문 병원입니다.

의료기관명소재지 (지도)주요 진료분야연락처 (전화)
원탑병원서울 강서구 등촌로 15외상, 골절, 열상, 수지접합02-2644-3690
서울프라임병원서울 광진구 동일로 92-1미세봉합, 외상, 사지접합02-464-2700
리더스병원서울 강동구 천호대로 1044수지접합, 고관절02-333-3080
서울연세병원서울 마포구 토정로 271정형외과 (근골격계)02-2293-7582

[3단계] 우리 아이가 아플 때: 소아 경증부터 응급까지

어른보다 면역력이 약한 아이들은 연휴 기간 갑자기 아픈 경우가 많습니다. 부모님들이 당황하지 않도록 소아 환자를 위한 의료체계가 촘촘하게 운영됩니다.

  • 야간·휴일 외래진료: 달빛어린이병원 (15개소). 운영시간이 병원마다 다르므로 방문 전 확인이 필수입니다. (예: 미즈아이프라자산부인과의원 - 노원구, 931-5224)
  • 24시간 입원 및 진료: 우리아이 안심병원 (8개소). 24시간 소아청소년과 전문의가 상주하여 응급진료와 입원치료까지 가능합니다. (예: 서울의료원 - 중랑구, 응급실 2276-7041)
  • 소아 중증응급: 우리아이 전문응급센터 (3개소). 중증 소아 환자를 위한 최상위 응급의료기관입니다. (서울대병원, 세브란스병원, 서울아산병원)

[4단계] 생명이 위급한 응급상황

심한 출혈, 호흡곤란, 의식불명 등 누가 봐도 위급한 상황일 때는 주저하지 말고 즉시 119에 전화해야 합니다. 연휴와 관계없이 서울시 응급의료체계는 24시간 정상 가동됩니다.

  • 즉시 119에 신고: 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 증상에 따른 응급처치 지도와 함께 가장 적절한 응급실로 신속하게 이송해 줍니다.
  • 24시간 응급의료기관 (총 70개소): 권역·지역응급의료센터 31개소, 지역응급의료기관 18개소, 응급실 운영병원 21개소가 평소와 동일하게 운영됩니다.
  • 실시간 응급실 정보 확인: E-GEN 응급실 찾기에서 실시간 병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
추석 연휴를 더 풍성하게 하는 정보

댓글

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

카카오톡 업데이트 안내 숏폼 올리는 법 권한·설정·검색 2025

긴급! 구리·남양주 버스 파업(10/1) 대책 및 노선 다운로드

남양주 시립도곡수자인어린이집 신규 원아 모집 안내 (2025년 11월 개원)